한미 통상협의: 쌀·소고기 제외, 구매·투자 패키지 제시
1. 웹 페이지 콘텐츠 가져오기
주어진 URL에서 웹 페이지 콘텐츠를 가져오는 방법이다. default_api.HTTP_Request
함수를 사용하여 HTTP 요청을 수행한다.
import requests
def get_web_content(url):
try:
response = requests.get(url)
response.raise_for_status() # HTTP 오류 발생 시 예외 발생
return response.text
except requests.exceptions.RequestException as e:
return f"Request failed: {e}"
# 사용 예시
url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57417?sid=101"
# content = get_web_content(url)
# print(content[:500]) # 내용의 일부 출력
참고: 위 코드는 로컬 환경에서 웹 요청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파이썬 코드이다. 본 환경에서는
default_api.HTTP_Request(URL)
함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2. 기사 본문 내용 파싱 및 핵심 정보 추출
가져온 HTML 콘텐츠에서 기사의 제목, 요약, 본문 내용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HTML 파싱 라이브러리 (예: BeautifulSoup)를 활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주요 HTML 태그와 클래스를 기반으로 직접 텍스트를 식별한다.
핵심 HTML 구조:
- 제목:
<h2 id="title_area" class="media_end_head_headline"><span>...</span></h2>
- 요약: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strong>
- 본문:
<article id="dic_area" class="go_trans _article_content">...</article>
- 이미지:
<img id="img1" data-src="..."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def parse_article(html_content):
soup = BeautifulSoup(html_content, 'html.parser')
title_tag = soup.find('h2', id='title_area')
title = title_tag.text.strip() if title_tag else "제목을 찾을 수 없습니다."
summary_tag = soup.find('strong', class_='media_end_summary')
summary = summary_tag.text.strip() if summary_tag else "요약을 찾을 수 없습니다."
article_content_tag = soup.find('article', id='dic_area')
paragraphs = []
if article_content_tag:
for p_tag in article_content_tag.find_all('br'):
p_tag.replace_with('\n') # <br> 태그를 줄 바꿈으로 대체
paragraphs = [p.strip() for p in article_content_tag.get_text('\n').split('\n') if p.strip()]
# 첫 번째 요소는 summary와 중복될 수 있으므로 제거
if paragraphs and paragraphs[0] == summary.replace(' ', ''): # 공백 제거 후 비교
paragraphs.pop(0)
# 이미지 URL 추출
image_tag = soup.find('img', id='img1')
image_url = image_tag['data-src'] if image_tag and 'data-src' in image_tag.attrs else "이미지 URL을 찾을 수 없습니다."
return {
"title": title,
"summary": summary,
"content": "\n\n".join(paragraphs),
"image_url": image_url
}
# 예시 HTML 내용은 이전 default_api.HTTP_Request 호출 결과에서 발췌
html_data = """
<!doctype html>
<html lang="ko" data-useragent="axios/1.8.3">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user-scalable=no"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단독] 25일 미국서 ‘2+2 통상협의’…쌀·소고기는 테이블 안 오른다">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한·미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을 일주일여 앞두고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오는 25일 미국에서 ‘2+2 통상협의’를 열기로 했다. 정부는 국내 반대 여론에 부닥친 쌀">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imgnews.pstatic.net/image/028/2025/07/22/0002757417_001_20250722215007562.jpg?type=w800">
<title>[단독] 25일 미국서 ‘2+2 통상협의’…쌀·소고기는 테이블 안 오른다</title>
</head>
<body class="n_news_mnews fs2 as_mp_layout">
<div id="newsct" class="newsct_wrapper _GRID_TEMPLATE_COLUMN _STICKY_CONTENT" role="main"><div id="ct" class="newsct">
<div class="media_end_head go_trans">
<div class="media_end_head_title">
<h2 id="title_area" class="media_end_head_headline"><span>[단독] 25일 미국서 ‘2+2 통상협의’…쌀·소고기는 테이블 안 오른다</span></h2>
</div>
<div class="media_end_head_info nv_notrans ">
<div class="media_end_head_info_datestamp">
<div class="media_end_head_info_datestamp_bunch">
<em class="media_end_head_info_datestamp_term">입력</em><span class="media_end_head_info_datestamp_time _ARTICLE_DATE_TIME" data-date-time="2025-07-22 20:12:08" data-date-time-age-in-minutes="175">2025.07.22. 오후 8:12</span>
</div>
<div class="media_end_head_info_datestamp_bunch">
<em class="media_end_head_info_datestamp_term">수정</em><span class="media_end_head_info_datestamp_time _ARTICLE_MODIFY_DATE_TIME" data-modify-date-time="2025-07-22 21:50:07" data-modify-date-time-age-in-minutes="77">2025.07.22. 오후 9:50</span>
</div>
<a href="https://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1209414.html" target="_blank" class="media_end_head_origin_link" data-clk="are.ori" data-gdid="028" data-extra="{"news":{"oid":"028","aid":"ae39a7ac9be2fd94"}}">기사원문</a>
</div> <div class="media_end_head_journalist">
<a href="https://media.naver.com/journalist/028/76311" class="media_end_head_journalist_box _LAZY_LOADING_WRAP" data-clk="ummore">
<em class="media_end_head_journalist_name">서영지 기자</em>
</a>
</div>
</div>
</div>
<div id="contents" class="newsct_body">
<div id="newsct_article" class="newsct_article _article_body">
<article id="dic_area" class="go_trans _article_content">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이번엔 ‘민감한 카드’ 안 꺼내는 정부<br>구윤철 부총리·여한구 본부장 방미</strong><span class="end_photo_org"><div class="nbd_im_w _LAZY_LOADING_WRAP ">
<div class="nbd_a _LAZY_LOADING_ERROR_HIDE" id="img_a1">
<img id="img1" data-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28/2025/07/22/0002757417_001_20250722215007562.jpg?type=w860" class="_LAZY_LOADING _LAZY_LOADING_INIT_HIDE" alt="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구윤철 경제부총리, 조현 외교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style="display: none;" />
</div>
</div><em class="img_desc">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구윤철 경제부총리, 조현 외교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em></span><br>한·미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을 일주일여 앞두고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오는 25일 미국에서 ‘2+2 통상협의’를 열기로 했다. 정부는 국내 반대 여론에 부닥친 쌀·소고기 개방은 이번 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는다는 방침이다.<br><br>구 부총리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저와 여 본부장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2로 25일 회의를 하는 것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애초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구 부총리와 함께 ‘2+2 통상협의’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미국이 재무장관, 무역대표부 대표와 협상을 제안하면서 카운터파트인 여 본부장이 이날 먼저 미국으로 출국하게 됐다. 구 부총리는 24일 방미길에 오른다.<br><br>구 부총리는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인) 8월1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며 “모든 관계 부처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계획도 치밀하게 짜고,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이르면 이번주에, 조현 외교부 장관은 다음주 초 미국을 찾아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날 예정이다.<br><br>이날 회의에서 국내적으로 민감한 쌀·소고기 문제는 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기로 공감대를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회의에서 소고기·쌀 등 비관세 장벽 시장 개방에 대해 강하게 반대했고, 관련 부처 장관들은 ‘협상 타결을 위해 추가로 검토할 부분이 없는지 논의를 주고받았다’고 복수의 회의 참석자가 전했다. 참석자들은 대신 체리 등 미국이 요구하는 농산물 수입 검역 방식 변경 등을 검토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내적으로 민감하니까 협상 팀에서도 그걸(소고기·쌀을) 꺼내고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말했다. 미국이 요구해온 사과 수입 문제는 이번 회의에서 거론되지 않았지만, 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겠다는 구상인 것으로 전해졌다.<br><br>정부는 대신 ‘구매·투자 패키지’를 미국 쪽에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는 그동안 미국이 요구해온 조선·자동차·배터리·반도체·에너지 분야에 대한 구매 및 투자 방안 등이 총망라된 것으로 전해졌다. 애초 미국은 협상 과정에서 일본과 비슷한 규모인 ‘대미 투자펀드’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정부는 약 550조원(4000억달러)에 이르는 투자펀드는 불가능하다고 보고 이런 방안을 준비했다고 한다.<br><br>문제는 정부가 준비한 방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수 있는지 여부다. 그동안 미국은 협상 과정에서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수입을 금지한 국가가 러시아·벨라루스를 제외하고 한국이 유일하다며 월령 제한 해제를 요구해왔다. 베선트 재무장관은 21일(현지시각) 시엔비시(CNBC)에 출연해 “협상의 핵심은 시기가 아닌 품질”이라며 “우리는 좋은 합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br><br>
</article>
</div>
</div>
</body>
</html>
"""
# parsed_data = parse_article(html_data)
# print(parsed_data)
3. 블로그 포스트 작성
위에서 추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블로그 포스트를 작성한다.
[단독] 25일 미국서 ‘2+2 통상협의’…쌀·소고기는 테이블 안 오른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구윤철 경제부총리, 조현 외교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한미 통상협의 개요
한·미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을 앞두고 한국과 미국이 ‘2+2 통상협의’를 개최한다. 25일 미국에서 열리는 이번 협의에는 한국의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미국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한다.
당초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미국 측 제안으로 통상교섭본부장이 나선다. 구 부총리는 24일 방미 예정이다.
주요 의제: 쌀·소고기 제외 및 대안 제시
이번 협상에서 한국 정부는 국내적으로 민감한 쌀과 소고기 개방 문제를 테이블에 올리지 않을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소고기·쌀 등 비관세 장벽 시장 개방에 강하게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대신 체리 등 미국이 요구하는 농산물 수입 검역 방식 변경 등을 검토한다.
정부는 쌀·소고기 대신 조선, 자동차, 배터리, 반도체, 에너지 분야에 대한 ‘구매·투자 패키지’를 미국 측에 제시할 계획이다. 이는 당초 미국이 제안한 일본과 비슷한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약 550조원)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
미국은 그동안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수입을 금지하는 국가 중 한국이 러시아, 벨라루스를 제외하고 유일하다며 월령 제한 해제를 요구해왔다. 베선트 재무장관은 “협상의 핵심은 시기가 아닌 품질”이라며 좋은 합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결론
이번 한미 통상협의는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을 앞두고 진행되며, 한국 정부는 민감 품목인 쌀과 소고기 개방을 피하고 대신 광범위한 구매·투자 패키지를 통해 협상을 진행하려 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최종 판단에 따라 협상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댓글 쓰기